사자성어 주제별 목록
고사성어 목록
고사성어는 중국과 한국의 역사·고전에서 유래한 짧은 한자성어로, 특정 사건이나 인물의 이야기에서 비롯된 지혜와 교훈을 함축적으로 담고 있습니다. 단 네 글자 또는 적거나 많은 글자 안에 수천 년의 삶의 지혜, 인간관계, 정치, 윤리, 철학이 녹아 있어 말 한마디로 강한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습니다. 고사성어를 알면 고전을 깊이 이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말의 품격과 설득력을 높이고, 삶의 판단과 성찰에도 유익합니다. 시대가 변해도 인간의 본성은 그대로이기에, 오늘날에도 여전히 중요한 통찰을 제공합니다. 고사성어를 통해 우리의 삶을 성찰하는 귀한 시간 되기를 원합니다.
주제별로 분류한 것이므로 동일한 고사성어가 주제별로 나누어 반복적으로 등장할 수 있습니다. 각 사자성에 대한 깊은 뜻풀이는 포스팅하는 대로 링크해 두겠습니다.
인간관계·우정
간담상조(肝膽相照) : 진심을 터놓고 서로를 깊이 이해하고 신뢰하는 사이
지란지교(芝蘭之交) : 고귀하고 아름다운 우정
수어지교(水魚之交) : 떨어질 수 없는 친밀한 사이
금란지계(金蘭之契) : 금처럼 단단하고 난초처럼 향기로운 우정
단금지교(斷金之交) : 쇠도 끊을 만큼 굳건한 우정
관포지교(管鮑之交) : 생사를 함께하는 깊은 우정
막역지우(莫逆之友) : 거슬림이 없는 절친한 친구
문경지교(刎頸之交) : 목숨을 내놓고 맺은 친구 관계
부부와 연인의 사랑 관련 고사성어
백년가약(百年佳約) : 백 년을 함께하자는 아름다운 약속
-한자풀어 : 百: 일백 백 年: 해 년 佳: 아름다울 가 約: 약속 약
-뜻: 부부로 평생을 함께하자는 혼인 서약
해로동혈(偕老同穴) : 함께 늙고 한 무덤에 묻힘
-한자풀어 : 偕: 함께 해 老: 늙을 로 同: 함께 동 穴: 구멍 혈
-뜻: 생사고락을 같이하며 영원히 함께하겠다는 부부의 맹세
상부상조(相扶相助) : 서로 돕고 서로 도와줌
-한자풀어 : 相: 서로 상 扶: 도울 부 助: 도울 조
-뜻: 부부나 연인 관계에서 서로 협력하고 의지함
금슬지락(琴瑟之樂) : 거문고와 비파의 화음 같은 즐거움
-한자풀어 : 琴: 거문고 금 瑟: 비파 슬 之: ~의 지 樂: 즐거움 락
-뜻: 부부간의 조화롭고 아름다운 관계
연리지(連理枝) : 가지가 맞닿아 하나로 자람
-한자풀어 : 連: 잇닿을 연 理: 결 지 枝: 가지 지
-뜻: 부부 혹은 연인이 마음과 운명을 함께 함
천생연분(天生緣分) : 하늘이 맺어준 인연
-한자풀어 : 天: 하늘 천 生: 날 생 緣: 인연 연 分: 나눌 분
-뜻: 타고난 인연으로 맺어진 이상적인 짝
애정전선(愛情戰線) : 사랑이 진행되는 전선
-한자풀어 : 愛: 사랑 애 情: 정 정 戰: 싸울 전 線: 줄 선
-뜻: 연애나 부부 관계에서의 감정적 갈등과 흐름
수의지탄(守義之歎) : 의리를 지키려는 탄식
-한자풀어 : 守: 지킬 수 義: 의리 의 之: ~의 지 歎: 탄식할 탄
-뜻: 사랑하는 이와의 약속이나 의리를 지키지 못할 때의 한탄
교환심성(交歡心誠) : 기쁨을 나누며 마음이 정직함
-한자풀어 : 交: 사귈 교 歡: 기쁠 환 心: 마음 심 誠: 정성 성
-뜻: 진실한 마음으로 교제하는 사랑
백년해로(百年偕老) : 백 년을 함께 늙어감
-한자풀어 : 百: 일백 백 年: 해 년 偕: 함께 해 老: 늙을 로
-뜻: 부부가 평생 함께하며 늙어가는 이상적인 삶
양관동거(兩觀同居) : 두 개의 궁전에서 같이 삶
-한자풀어 : 兩: 두 양 觀: 궁전 관 同: 함께 동 居: 살 거
-뜻: 신혼부부나 연인이 함께 생활하는 것을 아름답게 표현
부창부수(夫唱婦隨) : 남편이 노래하면 아내가 따름
-한자풀어 : 夫: 남편 부 唱: 노래할 창 婦: 아내 부 隨: 따를 수
-뜻: 부부 사이에 조화롭고 화합하는 관계
해로지정(偕老之情) : 함께 늙어가고자 하는 정
-한자풀어 : 偕: 함께 해 老: 늙을 로 之: ~의 지 情: 정 정
-뜻: 변치 않고 오래 지속되는 사랑
가정맹어호(苛政猛於虎) : 가혹한 정치는 호랑이보다 무섭다
-한자풀어 : 苛: 가혹할 가 政: 정치 정 猛: 사나울 맹 於: ~보다 어 虎: 범 호
-뜻: 비유적으로 부부 사이 혹은 집안에서 지나친 강압은 해를 끼침
지란지교(芝蘭之交) : 지초와 난초 같은 고결한 우정
-한자풀어 : 芝: 지초 지 蘭: 난초 란 之: ~의 지 交: 사귈 교
-뜻: 부부가 친구처럼 맑고 깊은 관계를 유지함
상심동체(雙心同體) : 두 마음이 한 몸처럼 됨
-한자풀어 : 雙: 쌍 쌍 心: 마음 심 同: 함께 동 體: 몸 체
-뜻: 서로 깊이 사랑하여 하나처럼 느끼는 사이
결자해지(結者解之) : 맺은 사람이 풀어야 한다
-한자풀어 : 結: 맺을 결 者: 사람 자 解: 풀 해 之: ~한 지
-뜻: 연인 간의 갈등이나 오해는 본인이 해결해야 함을 의미
인내·노력
형설지공(螢雪之功) : 어려운 환경에서도 열심히 공부하여 이룬 성과
마부위침(磨斧爲針) : 포기하지 않고 노력하면 큰 일도 이룰 수 있음
우공이산(愚公移山) : 우직한 노력은 결국 큰 결과를 이룸
주경야독(晝耕夜讀) : 낮에는 일하고 밤에는 공부하는 성실한 자세
십벌지목(十伐之木) : 열 번 찍어 안 넘어가는 나무는 없음
수적천석(水滴穿石) : 작은 노력도 계속하면 큰 결과를 이룸
지혜·판단
읍참마속(泣斬馬謖) : 사사로운 정을 버리고 공의를 세움
미생지신(尾生之信) : 융통성 없이 약속을 지키다 화를 입음
각주구검(刻舟求劍) : 현실의 변화를 무시하고 고지식하게 행동함
망양지탄(亡羊之歎) : 방법이 너무 많아 도리어 길을 잃음
우이독경(牛耳讀經) : 아무리 말해도 알아듣지 못함
당랑거철(螳螂拒轍) : 제 힘도 모르고 강적에 맞섬
용기·결단
와신상담(臥薪嘗膽) : 고통을 참으며 복수를 다짐함
절치부심(切齒腐心) : 몹시 분하여 이를 갈고 마음을 썩임
배수지진(背水之陣) : 물을 등지고 목숨을 걸고 싸움
칠전팔기(七顚八起) : 실패를 거듭해도 포기하지 않음
파죽지세(破竹之勢) : 거침없이 나아가는 기세
백절불굴(百折不屈) : 아무리 꺾여도 굴하지 않음
권력·야망
지록위마(指鹿爲馬) : 사실을 왜곡하여 권력을 시험함
토사구팽(兎死狗烹) : 필요할 땐 쓰고, 필요 없으면 제거함
군계일학(群鷄一鶴) : 평범한 무리 속에 뛰어난 한 사람
백미(白眉) : 여럿 중 가장 뛰어난 사람
형가취검(荊軻取劍) : 목숨을 걸고 대의를 실현함
장삼이사(張三李四) : 평범한 백성, 보통 사람들
교만·실패
교언영색(巧言令色) : 말과 얼굴빛으로 아첨함
교주고슬(膠柱鼓瑟) : 융통성 없이 고지식하게 행동함
연목구어(緣木求魚) : 불가능한 일을 하려 함
자승자박(自繩自縛) : 스스로 묶여 곤란해짐
교각살우(矯角殺牛) : 결점을 고치려다 전체를 망침
정의·도덕
정문일침(頂門一鍼) : 따끔하게 충고함
청렴결백(淸廉潔白) : 부정 없이 맑고 깨끗함
불편부당(不偏不黨) : 공정하고 치우치지 않음
견리사의(見利思義) : 이익을 보거든 의리를 먼저 생각함
명경지수(明鏡止水) : 맑고 고요한 마음 상태
학문·교육
독서백편의자현(讀書百遍義自見) : 책을 백 번 읽으면 뜻이 절로 드러남
-한자풀어 : 讀: 읽을 독 書: 책 서 百: 일백 백 遍: 두루 편 義: 뜻 의 自: 스스로 자 見: 보일 현
-뜻: 반복해서 읽으면 이해가 저절로 생긴다는 의미
온고지신(溫故知新) : 옛 것을 익혀 새 것을 앎
-한자풀어 : 溫: 따뜻할 온 故: 옛 고 知: 알 지 新: 새 신
-뜻: 옛 지식을 되새겨 새로운 지혜를 얻는다는 의미
백문불여일견(百聞不如一見) : 백 번 듣는 것보다 한 번 보는 것이 낫다
-한자풀어 : 百: 일백 백 聞: 들을 문 不: 아닐 불 如: 같을 여 一: 하나 일 見: 볼 견
-뜻: 직접 보는 것이 듣는 것보다 더 확실하다는 의미
수불석권(手不釋卷) : 손에서 책을 놓지 않음
-한자풀어 : 手: 손 수 不: 아니 불 釋: 놓을 석 卷: 책 권
-뜻: 항상 공부에 힘쓴다는 의미
형설지공(螢雪之功) : 반딧불과 눈빛으로 이룬 노력
-한자풀어 : 螢: 반딧불이 형 雪: 눈 설 之: ~의 지 功: 공로 공
-뜻: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학문에 힘쓴 노력
주경야독(晝耕夜讀) : 낮에는 일하고 밤에는 책을 읽음
-한자풀어 : 晝: 낮 주 耕: 밭 갈 경 夜: 밤 야 讀: 읽을 독
-뜻: 시간을 아껴 부지런히 공부하는 자세
절차탁마(切磋琢磨) : 부단히 갈고 닦음
-한자풀어 : 切: 자를 절 磋: 문지를 차 琢: 다듬을 탁 磨: 갈 마
-뜻: 학문이나 인격을 갈고 닦는 과정
궁리진언(窮理盡言) : 이치를 궁구하여 말로 다함
-한자풀어 : 窮: 다할 궁 理: 이치 리 盡: 다할 진 言: 말 언
-뜻: 사물의 이치를 깊이 탐구하고, 이를 최대한 표현함
발분망식(發憤忘食) : 분발하여 밥 먹는 것도 잊음
-한자풀어 : 發: 일어날 발 憤: 분할 분 忘: 잊을 망 食: 밥 식
-뜻: 학문에 대한 열정이 극진함
청출어람(靑出於藍) : 제자가 스승보다 나음
-한자풀어 : 靑: 푸를 청 出: 날 출 於: ~에서 어 藍: 쪽 람
-뜻: 제자가 스승보다 더 뛰어나게 됨을 뜻함
문일지십(聞一知十) : 하나를 들으면 열을 앎
-한자풀어 : 聞: 들을 문 一: 하나 일 知: 알 지 十: 열 십
-뜻: 뛰어난 이해력과 지혜를 뜻함
사랑·연애
상사병(相思病) : 그리움으로 생기는 병, 사랑의 병
백년가약(百年佳約) : 평생을 함께하기로 한 아름다운 약속
해로동혈(偕老同穴) : 함께 늙고 함께 묻힌다는 부부의 맹세
배신·의심
배은망덕(背恩忘德) : 은혜를 저버리고 덕을 잊음
이이제이(以夷制夷) : 적을 이용해 다른 적을 제압함
모순(矛盾) : 앞뒤가 맞지 않음, 자기 주장이 서로 충돌함
전쟁·전략
삼고초려(三顧草廬) : 인재를 얻기 위해 세 번이나 찾아감
청야전술(淸野戰術) : 적에게 아무것도 남기지 않기 위한 전략
병법삼십육계(兵法三十六計) : 계략은 많고 다양함을 의미함
운명·천명
천우신조(天佑神助) : 하늘이 도와주는 행운
명재경각(命在頃刻) : 생명이 경각에 달림
새옹지마(塞翁之馬) : 인생의 길흉은 예측할 수 없음
자연·사계절
춘풍화우(春風化雨) : 봄바람과 단비처럼 은혜롭고 감화력 있음
-한자풀어 : 春: 봄 춘 風: 바람 풍 化: 변화할 화 雨: 비 우
-뜻: 따뜻한 가르침이나 감화가 사람의 마음을 변화시키는 모습을 비유
설상가상(雪上加霜) : 눈 위에 서리가 덮임
-한자풀어 : 雪: 눈 설 上: 위 상 加: 더할 가 霜: 서리 상
-뜻: 어려운 일에 또 다른 어려움이 겹침
풍상고절(風霜高節) : 바람과 서리를 이겨낸 고결한 절개
-한자풀어 : 風: 바람 풍 霜: 서리 상 高: 높을 고 節: 절개 절
-뜻: 추운 환경에서도 굴하지 않는 고고한 성품을 뜻함
우후죽순(雨後竹筍) : 비 온 뒤에 솟아나는 죽순
-한자풀어 : 雨: 비 우 後: 뒤 후 竹: 대나무 죽 筍: 죽순 순
-뜻: 어떤 일이 갑자기 많이 생김
화룡점정(畵龍點睛) : 용을 그리고 마지막에 눈동자를 찍음
-한자풀어 : 畵: 그릴 화 龍: 용 룡 點: 점찍을 점 睛: 눈동자 정
-뜻: 가장 중요한 부분을 마무리하여 완성함
낙엽귀근(落葉歸根) : 떨어진 잎은 뿌리로 돌아감
-한자풀어 : 落: 떨어질 낙 葉: 잎 엽 歸: 돌아갈 귀 根: 뿌리 근
-뜻: 고향이나 근본으로 돌아감을 비유하는 말
음풍농월(吟風弄月) : 바람을 읊고 달을 희롱함
-한자풀어 : 吟: 읊을 음 風: 바람 풍 弄: 희롱할 농 月: 달 월
-뜻: 자연을 즐기며 시를 읊는 풍류적인 삶의 태도
백설이만강산(白雪已滿江山) : 흰 눈이 강산을 덮음
-한자풀어 : 白: 흰 백 雪: 눈 설 已: 이미 이 滿: 가득할 만 江: 강 강 山: 산 산
-뜻: 겨울 풍경의 아름다움을 묘사하는 표현
추풍낙엽(秋風落葉) : 가을바람에 떨어지는 낙엽
-한자풀어 : 秋: 가을 추 風: 바람 풍 落: 떨어질 낙 葉: 잎 엽
-뜻: 세력이나 기운이 쇠퇴함을 비유함
백운고월(白雲孤月) : 흰 구름과 외로운 달
-한자풀어 : 白: 흰 백 雲: 구름 운 孤: 외로울 고 月: 달 월
-뜻: 외롭고 쓸쓸한 정경 혹은 심정을 나타냄
강산무정(江山無情) : 강과 산은 무정함
-한자풀어 : 江: 강 강 山: 산 산 無: 없을 무 情: 정 정
-뜻: 자연은 인간의 희로애락과 무관하다는 뜻
동산지절(東山之節) : 동산의 절개
-한자풀어 : 東: 동녘 동 山: 산 산 之: ~의 지 節: 절개 절
-뜻: 자연 속에서 고고한 절개를 지키며 은거하는 삶
풍월주인(風月主人) : 바람과 달의 주인
-한자풀어 : 風: 바람 풍 月: 달 월 主: 주인 주 人: 사람 인
-뜻: 자연을 벗삼아 시와 풍류를 즐기는 사람
동풍해설(東風解雪) : 동풍이 불어 눈을 녹임
-한자풀어 : 東: 동녘 동 風: 바람 풍 解: 풀 해 雪: 눈 설
-뜻: 봄이 오면서 모든 것을 녹이는 따뜻한 기운을 상징
겸손·성찰
과유불급(過猶不及) : 지나침은 모자람과 같다
지지불태(知止不殆) : 멈출 줄 알면 위태롭지 않다
반구저기(反求諸己) : 잘못의 원인을 자기에게서 찾음
재물·상업
일확천금(一攫千金) : 한 번에 큰 돈을 움켜쥠
다다익선(多多益善) : 많을수록 더 좋음
과전불납리(瓜田不納履) : 의심받을 행동은 피해야 함
'단어해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자성어] 게으름 관련 고사성어 (0) | 2025.07.23 |
---|---|
[사자성어] 성공을 위한 노력 관련 고사성어 (0) | 2025.07.23 |
부자와 가난한 자 관련 고사성어 (0) | 2025.07.23 |
[사자성어] 간담상조(肝膽相照)가 주는 교훈 (0) | 2025.07.23 |
계엄령 의혹제기 및 반박 내용 정리 (0) | 2024.12.04 |
계엄령 뜻 근거 법률 (0) | 2024.12.04 |
로제의 아파트, 그리고 윤수일의 아파트 (0) | 2024.10.24 |
나쁘지 엑스X 뜻 (0) | 2024.08.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