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자성어] 게으름 관련 고사성어

꿈꾸는몽당연필 2025. 7. 23.
반응형

게으름 관련 고사성어

 

고사성어 이렇게 사용하세요

게으름은 누구에게나 스며들 수 있는 마음의 틈이며, 한순간의 안일함이 인생 전체를 흐릿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옛사람들은 이 게으름을 경계하며 많은 고사성어를 남겼습니다. 그중 ‘작심삼일(作心三日)’은 결심이 사흘을 넘기지 못한다는 말로, 의지가 약한 이들의 나태함을 꼬집습니다. ‘만시지탄(晩時之歎)’은 때를 놓치고 나서야 후회하는 탄식이며, 게으름이 가져오는 가장 뼈아픈 결과입니다. ‘유야무야(有耶無耶)’는 일의 경중도 따지지 않고 흐지부지 넘기는 태도를 경고하고, ‘좌정관천(坐井觀天)’은 우물 안에 앉아 세상을 다 안다고 자만하는 게으른 무지를 비유합니다.

 

이 성어들은 단지 남을 꾸짖기 위한 말이 아닙니다. 스스로를 돌아보라는 거울이며, 정신의 태만함이 삶의 실패로 이어질 수 있음을 경고하는 지혜입니다. 세상은 스스로 움직이지 않습니다. 변화를 이끄는 이는 늘 깨어 있는 자입니다. 오늘 하루, 마음속의 게으름을 들여다보고 성실과 절제라는 새로운 성어를 가슴에 새겨보십시오. 고사성어는 과거의 말이지만, 지금 당신의 삶을 일으켜 세우는 가장 날카로운 자극이 될 수 있습니다.

 

작심삼일(作心三日) : 결심이 사흘을 못 감

-한자풀어 : 作: 만들 작 心: 마음 심 三: 셋 삼 日: 날 일
-뜻: 결심은 했으나 오래 지속하지 못하는 상태, 심리학적으로 삼일을 넘기면 지속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 그만큼 삼일의 시간은 정말 중요하다.

안일무사(安逸無事) : 편안하고 일이 없음

-한자풀어 : 安: 편안할 안 逸: 편할 일 無: 없을 무 事: 일 사
-뜻: 현실에 안주하고 적극적으로 노력하지 않음, 실제로 아무런 일이 없다는 뜻이 아니라 부정적인 의미로 게으르다는 뜻이다.

오합지졸(烏合之卒) : 까마귀처럼 모인 군졸

-한자풀어 : 烏: 까마귀 오 合: 합할 합 之: ~의 지 卒: 군사 졸
-뜻: 준비 없이 무질서하게 모인 상태로, 부주의하거나 산만한 태도

태만자업(怠慢自業) : 게으름은 스스로 초래한 결과

-한자풀어 : 怠: 게으를 태 慢: 게으를 만 自: 스스로 자 業: 업 업
-뜻: 게으름이 불러온 결과를 자신이 책임져야 함

안분지족(安分知足) : 자기 분수에 만족함

-한자풀어 : 安: 편안할 안 分: 분수 분 知: 알 지 足: 족할 족
-뜻: 발전보다는 현실에 안주하는 태도를 나타내는 말로 쓰이기도 함, 게으름을 뜻하기도 하지만 자신의 삶에 만족한다는 긍정적 의미로 사용하기도 한다.

기우(杞憂)

기우(杞憂) : 쓸데없는 걱정

-한자풀어 : 杞: 나라 이름 기 憂: 근심할 우
-뜻: 현실적 문제보다 헛된 걱정만 하며 실제 노력은 하지 않는 상태, 기나라 사람의 근심이 이란 뜻이다. 

지록위마(指鹿爲馬) : 사슴을 가리켜 말이라 함

-한자풀어 : 指: 가리킬 지 鹿: 사슴 록 爲: ~로 여길 위 馬: 말 마
-뜻: 게으른 권력자가 아첨하는 자들의 말만 믿고 진실을 외면함

백년하청(百年河淸) : 백 년이 지나야 황하가 맑아짐

-한자풀어 : 百: 일백 백 年: 해 년 河: 강 하 淸: 맑을 청
-뜻: 아무리 기다려도 이루어지지 않음. 노력하지 않고 바라기만 하는 상태

선풍도골(仙風道骨) : 신선과 같은 모습

-한자풀어 : 仙: 신선 선 風: 바람 풍 道: 도리 도 骨: 뼈 골
-뜻: 현실을 회피하며 무기력하거나 무책임하게 행동하는 태도

유야무야(有耶無耶) : 있는지 없는지 흐지부지함

-한자풀어 : 有: 있을 유 耶: 의문사 야 無: 없을 무 耶: 의문사 야
-뜻: 태도가 분명하지 못하고 흐리멍덩하게 넘어가는 것

좌정관천(坐井觀天) : 우물 안에 앉아 하늘을 봄

-한자풀어 : 坐: 앉을 좌 井: 우물 정 觀: 볼 관 天: 하늘 천
-뜻: 세상에 대한 지식이 좁고 안일하게 살아가는 태도

만시지탄(晩時之歎) : 때가 늦어 한탄함

-한자풀어 : 晩: 늦을 만 時: 때 시 之: ~의 지 歎: 탄식할 탄
-뜻: 게을러 시기를 놓친 후에야 후회하는 상황

연목구어(緣木求魚) : 나무에 올라가 물고기를 구함

-한자풀어 : 緣: 인연 연 木: 나무 목 求: 구할 구 魚: 물고기 어
-뜻: 방법도 모르고 애매하게 시도하다 헛된 결과를 얻는 어리석음

오십보백보(五十步百步) : 도망간 거리 차이일 뿐 도망은 도망

-한자풀어 : 五: 다섯 오 十: 열 십 步: 걸음 보 百: 백 백
-뜻: 서로 게으름이나 나태함을 탓할 처지가 아님

미생지신(尾生之信) : 융통성 없는 약속

-한자풀어 : 尾: 꼬리 미 生: 날 생 之: ~의 지 信: 믿을 신
-뜻: 약속을 지키겠다는 고집으로 융통성 없이 시간을 허비하거나 게으름으로 변명하는 상태

안빈낙도(安貧樂道) : 가난을 즐기며 도를 따름

-한자풀어 : 安: 편안할 안 貧: 가난할 빈 樂: 즐거울 락 道: 도리 도
-뜻: 물질적 노력보다 정신적 안일함에 치우친 상태로도 해석 가능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