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일제강점기2

가마니 뜻과 유래

가마니가마니는 일본어  가마스(かます)에서 유래한 말이다. 가마니는 우리말로 섬 멱 멱서리라고 한다. 그래서 '한 섬' '두 섬'이라 불렀다. 하지만 일제강점기 시절 일본에서 가마니가 들어오면서 섬을 버리고 '가마니'에 익숙해져 졌다. 카마스가 일본식 발음이라 어려워 인천 군산 개항장을 중심으로 발음하기 편한 가마니로 발음되기 시작되면서 가마니로 고착화된 것으로 보인다. 가마니와 가마스는 다른 단위지만 오래 기간 식민지를 지나오면서 일본화된 단어 중의 하나가 되었다. 생선의 항 종류인 가마스(かます)도 있다.  섬은 일본에서들어온 가마니에 비해 불편하고 단단하지 않았다. 이후 점점 섬은 가마니로 대체되었다. 이후 사람들은 섬이 아닌 가마니로 불렀다.  일제강점기 시절 가마니는 삼백의 탈취물 중에서 두 종.. 단어해설 2024. 7. 25.

글쓰기 독서 마산

이틀째 허정도의 와 김중혁의 를 읽고 있다. 예전 같으면 단숨에 박살?을 냈을 터인데 요즘은 완독이나 정독에 대한 욕심도 필요성도 느끼지 못한다. 필요하면 읽고 그렇지 않으면 그냥 둔다. 현재 거하는 집이 비좁고 마땅히 책을 둘 곳이 없어 책을 사도 문제다. 어제는 마산에 대한 이야기를 조금했다. 수십 년 전부터 알고 있고, 가끔 가는 곳이라 많이 알고 있다고 생각했는데 아는 게 하도 없었다. 흐릿한 기억 몇 개 만을 건질 수 있었다. 책을 읽으면서 좀 더 알아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아침에 일어나 커피 한잔과 삶은 고구마로 아침을 때우고 컴퓨터를 열어 카카오맵으로 들어갔다. 지도를 보니 왜 마산이 창원과 합병을 했는지 이해가 된다. 하지만 진해시는 아무래도 억지로 꿰 맞춘 것 같다. 뭐 그대로 터널이.. 여러이야기 2022. 11. 28.
반응형